로고 이미지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홈
  • 방명록
  • 글쓰기
  • 관리자
  • 분류 전체보기
    • astronomy
    • 서머너즈워
    • 유용한정보
    • 오늘의 운세
    • IT정보
    • 생활정보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astronomy

  • 천문학자 요하네스 케플러

    2020.02.05 by 나나야야

  • 별자리 알아보기

    2020.02.03 by 나나야야

  • 목성 크기

    2020.01.30 by 나나야야

  • 천문학자 갈릴레오 갈릴레이

    2020.01.29 by 나나야야

  • 천문학 역사

    2020.01.29 by 나나야야

천문학자 요하네스 케플러

안녕하요 냥냥이 입니다. 오늘은 영하11도 까지 떨어졌는데요.어제새벽에 눈이 조금 왔는데 그이후 많이 기온이 떨어졌습니다.왠일로 안춥나했더니 역시겨울이긴 겨울인가봅니다.천문학에 대해서 계속 포스팅을 했었는데 오늘도 어김없이 천문학자 요하네스 케플러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해요.이분은 천문학자이자,독일의 수학자,점성술자이자 17세기때 천문학 혁명의 중심 인물이였다고합니다. 자신의 이름이 붙은 행성운동법칙으로 엄청 유명하고 후대의천문학자들은 요하네스 케플러 저을 통하여 그 법칙을 성문화하였다고해요. 요하네스 케플러는 오스트리아 그라츠 신학교의 수학선생이고 페르디난트 2세등 세 황제를 모신 로마제국의 제국수학자이면 발렌슈타인 장군의 점성술사라는 경력의 소유자이기도 하였습니다요하네스 케플러가 살던 시대에는 점성술과..

astronomy 2020. 2. 5. 15:47

별자리 알아보기

안녕하세요 냥냥이 입니다. 오늘은 별자리에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비 천문학적인 매락에선 별자리라고 하는것은 밤하늘의 별들에게 붙여준 모양과 이름을 뜻하는데요. 누구나 새로운 별자리를 마을대로 그려볼수도 있고 동양에서는 고대중국3월28수 체계가 있다고 합니다.하지만 천문학적에서는 그 의미 완전히 다르다고 합니다.북두칠성등의 전통적인 별자리들은 성군으로 나뉘어지며 별자리라고 하는것은 상상의 선으로 이어지는 별을 말하는게 아니라 별들이 차치하고 있는 공간을 말하고 있습니다.여기서 생일별 별자리가 솔직히 너무 궁금한데요.1970년대에 등장한 해석으로는 일반적 점성술에선 받아들여지지 않는다고 합니다.무엇보다 중요한것은 생일에는 별자리 관측할수 없다는점이구요.생일별 별자리라는건 해당기간에 별자리와 태양이 천구 상..

astronomy 2020. 2. 3. 11:24

목성 크기

안녕하세요 냥냥이 입니다. 오늘은 목성에 대해 리뷰할려고 합니다.목성의 크기가 궁금했었는데요.지름이 142,984km(적도)133,709km(극)이에요.공전주기는 약 11.8618년(4,332.59일)이 됩니다. 목성은 태양계에서 5번째 행성이고 행성중에서 부피가 가장 크고 무거운게 특징입니다.부피는 지구의1300배가 넘고,반지름은 지구의11.2배인데요.부피에 비해서질량이 작은건 암석형 행성보다 민도가 낮은 성분들이 주를 이루고 구성성분인 가스형 행성이라서 입니다.근데도 목성의 질량은 다른 태양계 행성을 합친 것보다 무겁습니다.태양계에서 태양은 99.86프로 이며,목성은 나머지 0.14프로 중에서 약 3분의2인0.095프로 입니다.그다음이 통성이네요, 나머지 행성들은 다 합해도 태양계 의0.016프러밖에..

astronomy 2020. 1. 30. 14:03

천문학자 갈릴레오 갈릴레이

안녕하세요.오늘은 탈리아의 철학자이며 과학이기도하고 천묵학자인 갈릴레 갈릴레이의 생애,업적,명언등을 알아보려고합니다.다들 잘알고 계시죠?많이들 들어보셨을거에요.위대한 위인이죠.망원경이랑 지동설들으로 정말 많이 인류역사에 업적을 남진 가릴레오입니다.1564년2월15일 피사의 몰락 귀족으로 피레네가문에서 태어났습니다.갈릴레오는 귀족집안이였지만,생활이 어려운 형편의 귀족집안이였습니다. 갑자기 기세가 기울였기때문에 생활하는데 형편이 어려웠다고 합니다.갈릴레오 아버지는 집안의 어려운 사정으로 보수를 많이 받는 의사를 시키려고 했지만 갈릴레오는 의학보다는 수학에 더 흥미를 느꼈다고 합니다.1592년 갈릴오는 파도바 대학의 수학교수가 되었고 여기서 재직하면서 기하학과 천문학 군사기술등을 가르치면서 자신의 연구를 끊임..

astronomy 2020. 1. 29. 11:43

천문학 역사

천문학 역사 대해서 문득 궁금증이 생겨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뭔가좀 대단할거 같고 정의에 대해서 알고 싶었는데 제가 하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천문학은 자연과학에서 요러 학문 분야중 가장 오래되었다고 할수 있는 유서가 정말 깊은 학문이고,정말 스케일이 크다고 할수있습니다.고도의 물리적,수학적 지식이 필요하구요. 실상은 천문학과 학생들이 학부과정중 망원경을 터치해보는 횟수로나 시간이나 손가락에 꼽을수 있는 정도라고 합니다. 천문학의 정의는 우주를 구성하는 행성,성운,항성,성단,우리은하와 외부은하에서 일어나는 각종 자연현상을 물리학,수학의 지식을 바탕으로 연구하는 학문이라고 할수있습니다.화학,지구학,생물학과 같이 현상과학으로 나뉘어지고, 요 근래에는 학제간 연구와 같은 융합적 성격의 연구에서 행성과학,우주..

astronomy 2020. 1. 29. 00:36

추가 정보

반응형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다음
TISTORY
냥냥이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